세컨드 라이프의 희망여행
고통의 의미 본문
고통(苦通)의 사전적 의미는 마음의 아픔이나 괴로움이라고 한다. 그런 고통 체험의 연속이 인생이라고 어느 책에선가 본 것 같기도 하다. 우리 인간은 자신이 살아있음을 증명해 보이기 위해 활동을 한다. 그것도 역동적인 활동이 삶의 활력을 가져다준다고 여기고 있다. 하지만 그런 활동 속에서 받아야 하는 고통은 감내해야 한다. 움직임으로써 신체적인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고 행동의 결과 여부에 따라 정신적인 고통을 수반하게 되기 때문이다. 고통을 받지 않기 위해서 활동을 하지 않는다면 살아있는 것이 아닌 것이 되고 반대로 열정을 다해 활동함으로써 정신적 성취감을 얻지만 동시에 신체적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고통이란 인간에게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철학이나 심리학이나 종교학 등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깊이 있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였다.
오랜만에 시골에 가서 농사일을 하고 돌아와서 겪게 되는 통증이 나에게 주는 의미와 결부시켜 사고 확장의 시간을 가져본다. 지금 허리에서 느껴지는 통증은 신체적 고통이지만 연로하신 부모님의 일손을 도와드리고 왔다는 내면의 부심은 정신적 보상이다. 세상의 이치중에는 작용과 반작용의 원칙이 준용되고 결과가 있기까지는 원인이 있다고 한다. 지금 내가 겪고 있는 고통은 부모님에 대한 죄송스러운 마음의 짐을 벗어버리고 싶은 이유에서 발생한 것이다. 하지만 지금도 그렇고 과거에도 그랬듯이 우리들이 살아가고 있는 모습 속에서 수반되는 고통으로 인하여 많은 방황을 하곤 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알 수 없는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고통이라는 감정은 살아 있기 때문에 감지할 수 있는 감정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고통을 긍정의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간의 성격은 타고난 것이라 쉽게 바뀌지 않는다고 하지만 변화의 노력을 통하여 바꿀 수 있다고 한다. 삶이 힘들다고만 토로할 것이 아니라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면 그 고통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파악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 그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고통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고 그에 맞는 특별한 행동을 하거나 생활습관의 변화를 시도할 수가 있다. 노동으로 인한 고통은 단순히 편안하게 누워서 에너지를 충전하면 회복이 된다고 하지만 정신적으로 받는 고통은 근본적인 원인의 치료가 있어야 한다.
철학자들은 인간은 고통을 통해 존재의 본질을 자각 하게 된다고 하면서 삶의 핵심적인 요소를 고통으로 보았다. 다시 말해 삶의 과정에서 이러한 고통이 없이 평화와 안정만 있다면 자신의 존재와 가치에 대한 의미를 찾을 수 없다고 한다. 심리학 측면에서 고통은 마음의 병이라 칭하면서 자신의 내면 어딘가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라고 한다. 수련이나 명상이나 요가 등은 우리가 알고 있는 마음의 치료법이다. 종교에서는 고통을 인생의 기본 전제로 놓고 그 원인을 욕심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탐욕을 없애기 위해 자기를 내려놓으라고 했다. 그동안 고통은 나에게 부정적인 단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에게만 닥치는 불행이라고 여기기도 했다. 하지만 고통의 원인을 생각해 보고 자신을 반성함으로써 긍정의 힘을 동반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고통은 성장의 씨앗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오랜 직장생활을 하다가 갑작스런 퇴직과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는 과정에서의 고전을 겪으면서 독서와 글쓰기를 하고 있는 지금이 이러한 고통이 없었다면 보일 수 있는 변화의 모습도 없었을 것이다.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은 우리 안의 어딘가에 이상이 생기고 있다는 신호이다.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대처할 것인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자아에 대한 성찰과 재구성의 기회를 가지라는 신호이기 때문이다. 고통은 자신이 모든 것을 통제하고 다스릴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만들어 준다. 같은 사건에 대하여 어떤 시각으로 대처하는가는 고통의 인식의 정도와 관계가 있다.
NO PAIN, NO GAIN이라고 수없이 보고 들었지만 제대로 된 의미부여를 한 번도 해보지 않았다. 일부러 고통을 수행하는 사람도 있다고는 하지만 일상 속에서 주어지는 고통의 수렴부터 의미를 부여해 보아야 한다. 노동의 통증도 반복하다보면 무뎌진다고 하지만 농사일을 그만 못 두시는 부모님들을 보면서 지금 내가 받고 있는 허리 통증의 고통에 의미를 부여해 본다.
'세컨드라이프의 희망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오스,코스모스 (6) | 2025.05.14 |
---|---|
죄와 용서 (5) | 2025.05.13 |
기쁨과 쾌락에 관하여 (3) | 2025.05.11 |
오늘 (5) | 2025.05.10 |
그렇게 위대한 삶을 살지 않아도 된다 (4)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