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컨드 라이프의 희망여행

인.사.약. 본문

세컨드라이프의 희망여행

인.사.약.

세컨드 라이프의 희망여행 2025. 3. 28. 00:05
728x90
반응형
SMALL

내가 존재하지 않은 세상은 아무런 의미가 없고 세상은 나를 위주로 돌아가야 한다는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소유한 인간들 속에서 오늘도 내영역에 표시를 하느라 여념이 없다. 이러한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행동을 탓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지극히 당연한 권리를 효율적으로 누리면서도 타인과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안하무인의  이기적인 욕심을 부리기보다는 상호존중의 배려를 통한 자신의 세상을 만들어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 나를 중심으로 세상은 돌아가야 한다고 하지만 나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곳도 세상이다. 일방통행은 되돌아 갈 수도,옆으로 비켜갈 갈 수도

없는 길이다. 내가 존경받고 싶은 만큼 상대방을 존중해 주고 내가 인정받고 싶은 만큼 상대방도 인정해주어야 한다.


인정이라고 하는 것은 어떤 사실이나 상태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상대방의 노력을 인정해주어야 한다. 이는 자신의 감정이나 상태를 받아들이는 것과 같다. 상대방을 인정하는 것이 곧 나를 인정하는 것이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런 인정하는 것에 매우 인색하다. 상대방보다 덜 가지거나 모자람에 대하여 인정하려들지 않는다. 그래서 자기보다 능력이 우수하다거나 자기보다 더 많이 가진 사람들을 시기하거나 질투한다. 자신의 부족함은 다른 사람 탓이 아니다. 그런데도 감정이라는 녀석의 시선은 곱지가 않다. 감정수용은 곧 자신을 찾는 지름길이다. 그 길을 왜곡하는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한 첫 번째는 인정을 하는 것이다.

요즘 세태를 반영이라도 하듯 언어의 축약표현이 난무한 시대가 되었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이해하지 못하는 언어가 종종 있다. 아무리 빠르고 바쁘게 흘러가는 세상이라고는 하지만 언어를 축약할 정도는 아니지만 지금의 세태를 방증하는 요즘세대들만의 언어가 등장한 것이다. '인사약'이 무슨말인줄 아세요? 저녁 드라마의 한 장면에서 유치원에 다녀온 꼬마가 친구들한테 들었다고 하면서 할아버지에게 내뱉는 대사이다. 잘못한 것에 대하여 빠르게 정하고 거기에 대하여 과하면서 다음에는 재발하지 않겠다고 속 하는것.

순간적으로 지나간 대사이지만 언제부터인가 바보상자라고 생각해서 멀리하고 관심 있게 보지 않았던 드라마 속에서 가끔씩 생각을 파고드는 대사가 나오는 것을 느낀다. 생각해 보니 드라마 극본을 쓰는 작가들이 어쩌면 진솔되게 우리 사는 이야기를 전개하고 그 과정에서 삶에 대한 교훈을 줄 수 있도록 글을 쓰고 있다는 생각에 다시금 대사에 집중하게 되었다. 

인정한다고 해서 꼭 자신의 잘못에 대하여 인정을 하는 것은 아니다. 상대방의 노력이나 성과에 대하여도 칭찬과 격려의 인정을 보낼 수도 있고 사과에 대한 용서를 받아들임으로써 인정을 하는 것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금 스스로가 힘들다고 느끼고 있는 감정과 상황에 대하여 직시하는 것도 인정하는 것이다. 어떤 사실이나 진실에 대하여 자기주장을 펼침으로써 인정을 거부하는 것을 탓하지는 않겠지만 자신만의 사고에서 기인한 원인으로 자기주장이라는 이름으로 끝까지 인정하려들지 않음은 고집이나 아집이 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순간의 행복을 위하여 많은 변화를 일으킨 현대 문명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이다. 어디에서 우리가 태아 났고 어디로 가야 하는지에 대하여 일부 현인들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함께 살아왔던 시대에서 자연파괴로 인한 문명의 발달이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이것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인간의 사고보다는 정보의 총체로 만들어진 인공지능의 지배를 받고 있으면서도 이것이 옳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비록 문명은 발달했지만 그에 못지않는 병폐도 많이 생성되었다. 하지만 되돌아갈 수 없음에 치료약을 처방받으면서 오늘도 여러 가지의 약을 삼키고 있다. 자신의 건강을 위한 영양제도 좋지만 자신의 마음을 치료할 수 있는 '인사약' '인축약' (인정하고 축하하며 자신도 성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기로 약속하는 것)을 복용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지향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