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컨드 라이프의 희망여행
행복 본문
우리는 살면서 행복이란 단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그 정확한 의미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생각들은 하지 못하고 있다. 삶의 목표가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라고 하면서도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인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하지 못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행복에 대하여 느끼는 의미는 매우 개인적이고 다차원적인 명제로써 각자에게 다른 의미로 해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학자들이나 철학자들이 말하는 행복의 의미도 나하고의 유대성에 내포되어있지 않는다면 그 의미는 퇴색되고 만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행복은 감정적, 심리적 만족 상태를 말할 것이다. 마음의 평안함과 충족감을 경험하는 상태가 행복의 일반론적인 해석이다.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행복은 긍정적인 감정의 상태를 말한다고 한다. 기쁨이나 감사하는 마음, 사랑하거나 어떤일에 대한 성취감등 삶과 만족도의 결합적인 요소로 만들어진다고 한다. 긍정적인 감정을 자주 느끼게 됨으로써 자신의 삶이 가치 있고 의미 있다고 느끼는 시점이 행복함이라고 한다. 긍정심리학의 창시자 마틴 셀리그만은 행복의 다섯 가지 요소에 대하여 긍정적 감정을 느끼는 상태, 어떠한 일에 몰입하는 상태, 관계 속에서의 만족감,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 그리고 어떠한 일에 대한 성취감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이라고 하였다. 이에 동의하면서도 너무나 비 현실적이지 않나 고개가 기울어진다.
철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행복의 의미는 다분히 가치지향적이라고 보아야 할것이다. 덕과 이성에 따른 삶을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게 되는 감정이라고 고대 철학자들은 말하기도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란 인간이 자기 존재 목적대로 잘 살아갈 때 느끼는 감정이라고 하였다. "유다이모니아"는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이라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단순한 감정적 즐거움이 아니라 지속적인 자기완성과 덕스러운 삶을 통해 얻는 만족감이라고 하였다. 매번 느끼지만 철학적 사고에 의한 언어의 유희는 현실을 살고 있는 우리 인간에게는 너무나 어렵게만 느껴지는 명제임을 부정할 수가 없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해석된 행복은 인간관계와 사회적 위치와 지지와도 깊은 연관성이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다른 사람과의 긍정적인 관계에서 얻는 정서적 지지는 행복의 중요한 요소아더. 이러한 관계는 공동체 내에서 형성되며 사회적 유대감의 증가에 따라 행복감도 증진될 수 있다고 한다. 행복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잖아요. 당신없는 행복이란 있을 수 없잖아요. 라는 노래가 있듯이 관계속에서 오는 행복이 지금 우리가 느끼고 있는 행복이 아닐까 싶다.
행복이라는 단어의 의미해석 중 가장 현실적이라고 할 수 있는 해석은 행동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개념일 것이다. 경제적 안정이 일정 수준까지는 행복의 중요한 요소가 될수 있다. 하지만 경제적 안정이 일정 이상 높아지면 물질적 풍요가 더 이상 행복의 증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다라서 물질적 요소만이 아닌 삶의 질과 건강과 관계등 경제적 안정과 병행하여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위와 같이 여러가지 측면에서 바라본 행복의 의미는 아무리 정교한 말 기술로 표현을 한다 하여도 결국 자신이 행복에 대하여 어떻게 바라보고 느끼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으로 결론된다. 자기 성장을 위한 노력, 건강한 관계형성을 위한 노력, 그리고 의미 있는 삶의 목표를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 더 깊고 지속가능한 행복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는 행복한가를 물어야 한다. 행복을 추구하고는 있는가를 반문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행복이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자기 관리와 자기 암시의 행동을 해야 한다. 행복은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이미 우리 곁에 와 있음을 느끼는 것이다. 수많은 행복에 대한 표현은 앞으로도 더 많이 생성이 될 것이다. 정해지지 않는 행복에 대한 정의를 당신의 이름으로 오늘 두드림에 표현해 보는 것이 어떠한가?
'세컨드라이프의 희망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 없는것 (8) | 2024.09.09 |
---|---|
지금 내옆에 있는 행복을 잡아라 (9) | 2024.09.08 |
지혜로운 삶 (8) | 2024.09.06 |
부모 (9) | 2024.09.05 |
소통과 공감 (17)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