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기주장 (3)
세컨드 라이프의 희망여행

자신만의 사고와 행동으로 세상을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가야 한다고 하였고 그러기 위한 자기 인식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삶을 의미와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자기주장을 너무 강조하고 타인의 의견과 대립하거나 무시하는 것은 자칫 오만과 편견으로 비칠 수 있다. 요즘 유행하는 빌런으로 불려질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행동은 우리가 기본적으로 누려야 하는 권리임에 틀림없다. 권리의 주장은 맞지만 과도하거나 타인에게 피해를 줌으로써 잘못된 인상을 남겨서는 안 된다는 것도 잘 알기에 우리는 현명한 사고와 판단을 해야 한다. 모임이나 회의에서 자신의 의견을 자신감 있게 발표하는 것은 분명 자기주장이다. 자기주장의 합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감정이라는 것을 소유하고 있다. 이러한 감정의 모습은 그 사람의 지금 상태를 나타내 주고 상대방은 그에 맞는 과계의 사슬을 엵게 된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감정을 느끼면서도 이를 드러내는 것에는 익숙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래서 상대방으로 하여금 혼란을 초래하게 만들기도 한다. 지금의 감정이 화가 났는지, 평온한지, 아니면 슬프거나 행복한지에 대한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을 감정표현불능증이라고 한다. 이것은 알렉시티미아(Alexithymia)라고 불리며 감정을 느끼지만 이를 적절히 표현하지 못하는 상채를 말한다.우리는 어려서부터 부모나 사회로부터 맹목적 억제를 교육이라는 명목으로 강요 받아 왔다. 부모님이나 선생님에게 실망감을 주지 않기 위하여 자신의 감정을 회피하거..

어떠한 문제에 부딪혔을 때 우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어렵게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같은 문제가 다시 발생했을 때 처음보다 훨씬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이러한 경험이 반복되면서 우리는 유사한 문제를 가볌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된다. 이렇게 반복된 행동을 통해 형성된 것이 습관이다.매일 같은 환경에서 무의식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우리의 뇌는 습관으로 만들어 버린다. 뇌의 피질은 내부 감각과 외부 환경에서 들어오는 많은 정보들을 처리하며, 이 정보는 뇌의 한 가운데에 있는 기저핵으로 전달된다. 기저핵은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행동을 결정하고 자동화하는 역할을 한다.이것이 우리가 말하는 습관이다. 그리고 한번 형성된 습관은 바꾸기가 다소 어렵고 번거롭기까지 하다. 우리의 뇌에..